친구 A : "야~ 너 여유 좀 되면 내 회사에 투자 좀 해라."
나 : "그래? 투자를 하려면 회사가 그만한 가치가 있는지 먼저 봐야 되는데~"
친구 A : "야~ 그런 거 다 따지고 하는 게 무슨 투자야? 그런 건 아무나 다 하지! 회사가 어려울 때 돈을 넣는 게 투자지!"
===============
(위 사진 출처 : http://korean.visitkorea.or.kr/kor/invest/support/support_min.jsp )
1.
어떤 친구와 이런 대화를 했었다. 투자에 대해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정도를 보여주고 있다.
"될지 안 될지 모르는 곳에 돈을 넣는 것"은 자본주의적 투자자의 관점에서는 투자가 아니다.
그건 그냥 도박이다.
2.
[투자(投資, 영어: investment, investing)란 특정한 이득을 얻기 위하여 시간을 투입하거나, 자본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. 투자는 미래의 이익을 기대하며 돈 (때로는 시간과 같은 자원)을 할당하는 것이다.]
(출처 : 위키백과 한글판)
투자라는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돈의 투입부터 회수까지 시나리오, 어떻게 수익이 나는 건지, 어떻게 손실에 대처할 것인지, 이런 사항들에 대해 모두 미리 정리가 된 상태여야 한다.
3.
완벽하게 앞, 뒤가 나올 확률이 각 1/2 이 되는 동전 하나가 있다고 가정하자. (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)
게임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.
- 한 게임에 참여하려면 100원을 지불해야 한다.
-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1,000원을 받는다.
- 동전을 던져서 뒷면이 나오면 100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.
위와 같은 게임이 존재한다면, 한 게임당 참여자의 기대값은 450원이 된다. 계산식 = (1/2) x 1,000 + (1/2) x (-100)
참여자가 이 게임을 수 없이 많이 반복하면, 한 게임당 350원을 수익으로 얻을 것이다. 계산식 = 450원 - 100원(게임 참가비)
위의 게임은 완전한 투자를 설명하고 있다.
투자는 해당 게임을 수 없이 반복하게 되면 수익이 날 수밖에 없는 구조에 돈을 투입하는 행위이다.
수익이 날수밖에 없는 구조의 완전한 투자에서도, 위의 게임에서도 연속으로 20번 반복해서 뒷면이 나와서 손실을 볼 가능성도 있다.
따라서 돈을 한꺼번에 많이 투입해서도 안 된다. 이것과 관련한 투자의 주제를 Money Management 라 부른다.
어떻게 적절하게 투자에 돈을 배분할 것인지를 포함해서 게임의 규칙과 모든 상황의 시나리오가 먼저 한 눈에 그려져야 한다.
나중에 기록하겠지만 투자와 매매는 완전히 별도의 단어이다.
일반 사람들은 대개 혼동해서 혼용하기도 한다.
끗!
'투자 매매 > 투자와 매매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월가의 영웅 by 피터 린치 - (5) 굴 먹는 달에만 투자하라. (0) | 2017.10.16 |
---|---|
월가의 영웅 by 피터 린치 - (4) 월스트리트의 똑똑한 바보들 (0) | 2017.10.15 |
월가의 영웅 by 피터 린치 - (3) 랜덤워크와 메인 슈거(Maine Sugar) (0) | 2017.10.14 |
월가의 영웅 by 피터 린치 - (2) 애플과 도넛 (0) | 2017.10.11 |
월가의 영웅 by 피터 린치 - (1) 아마추어 투자자가 유리하다. (0) | 2017.09.20 |